r27
r22
1[[분류:단일 레벨 문서]]
2[include(틀:상위 문서,up=Frozen Time)]
3||<-3><tablewidth=675><table align=right><bgcolor=#b8edff><table bordercolor=#1a5091><color=#fff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 at 100% 50%, #b8edff 30%, #1a5091)"
4'''{{{+4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text-shadow: 0 0 7px #b8edff; color:#fff"
5Frozen Time}}}}}}'''[br]{{{+1 sqwv+}}}[br][include(틀:Neo Cosmos 필요)]}}} ||
6||<-3><bgcolor=#000><nopad> [youtube(UD3V5FdvAhQ,width=675,height=380)] ||
7||<-3><bgcolor=#bae5ff><nopad>'''{{{+1 {{{#000 | 레벨 제작자}}}}}}''' ||
8||<-3>[[Daming]] ||
9||<-3><bgcolor=#bae5ff><nopad>'''{{{+1 {{{#000 | 출시일}}}}}}''' ||
10||<-3>2022년 7월 26일 ||
11||<-3><bgcolor=#bae5ff><nopad>'''{{{+1 {{{#000 | 레벨 정보}}}}}}''' ||
12||<width=30%> {{{-1 곡 길이}}}[br]'''{{{+3 2:20}}}''' ||<width=30%> {{{-1 BPM}}}[br]'''{{{+3 174}}}''' ||<width=30%> {{{-1 타일 수}}}[br]'''{{{+3 584}}}''' ||
13||<-3><bgcolor=#bae5ff><nopad>'''{{{+1 {{{#000 | 주요 패턴}}}}}}''' ||
14||<-3>[include(틀:레벨 태그,tag1=Gimmick,tag2=Hold,tag3=Tresillo)] ||
15||<-3><bgcolor=#bae5ff><nopad>'''{{{+1 {{{#000 | 난이도}}}}}}''' ||
r23
16|| {{{-1 창작마당}}}[br]'''{{{#FAE969 {{{+5 5}}}}}}''' || {{{-1 ADOFAI.gg}}}[br]'''{{{+4 -}}}''' || {{{-1 TUF}}}[br]'''{{{+4 -}}}''' ||
r22
17||<-3><bgcolor=#bae5ff><nopad>'''{{{+1 {{{#000 | 튜토리얼}}}}}}''' ||
18||<-3>{{{+1 '''FZ-1 프리즈타일을 소개합니다'''}}}[br]{{{-2 FZ-1 Introducing Freezetile}}}
19{{{+1 '''FZ-2 날아오르는 행성'''}}}[br]{{{-2 FZ-2 Flying Planets}}}
20{{{+1 '''FZ-3 오'''}}}[br]{{{-2 FZ-3 Impact Event}}} ||
21||<-3><bgcolor=#bae5ff><nopad>'''{{{+1 {{{#000 | 주요 링크}}}}}}''' ||
22||<-3>[include(틀:스팀 창작마당 링크,id=2840585023,width=30)] ||
23[clearfix][목차]
24= 개요 =
r23
25레벨 제작자 [[Daming]]이 제작한 레벨.
r22
26= 특징 =
r26
27총 두 가지의 기믹으로 지루할 틈이 없게 만든 저렙이다. 하나는 곡 제목과도 어울리는 '프리즈타일' 기믹으로, 큐 사인이 들어간 만큼 쉬었다가 다시 진행하는 기믹으로 하늘색 타일로 구분할 수 있다. 본래 '리듬 닥터'에 있던 기믹을 차용한 것인데, 원작과는 다르게 큐 사인이 훨씬 알기 쉽고 단순하여 튜토리얼에서 한 번 연습하면 틀릴 일은 거의 없다.
r27
28다른 하나는 '날아오르는 행성' 기믹으로, 말 그대로 두 행성 중 하나를 축으로 하여 위로 이동하면서 타일을 처리하는 방식이다. DLC 기믹인 홀드 타일과 모양새가 비슷한데, 누르고 있지 않아도 되고 추가적으로 타일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.
r26
29
30레벨의 배경은 [[3번째 세계]]의 동굴 배경을 곡에 맞게 얼음 동굴로 바꾸었는데, 퀄리티가 좋다. 곡의 신비로운 느낌을 잘 살린 배경.
31카메라 이동과 이펙트는 다양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밋밋하지 않고 보는 맛이 있게 잘 만들어졌다. 흔히 말하는 '공식풍' 느낌의 이펙트라 할 수 있다.
r22
32= 튜토리얼 =
33== FZ-1 프리즈타일을 소개합니다 ==
r23
34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b8edff><table bordercolor=#1a5091><colcolor=#00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 at 100% 50%, #b8edff 30%, #1a5091)" {{{#fff FZ-1[br]'''{{{+2 프리즈타일을 소개합니다}}}'''[br]{{{-1 Introducing Freezetile}}}}}}}}} ||
35||<-6><nopad> [youtube(0)] ||
36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37[[파일:tutot2-1.png]]}}} ||
38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55 ||
39|| '''타일 수''' ||<-3>36 ||
r27
40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프리즈타일 기믹 ||
41위에서 언급한 프리즈타일을 소개하는 튜토리얼이다. 특유의 큐 사인과 이펙트, 카운트다운 때문에 타이밍 잡기가 수월하다.
r22
42== FZ-2 날아오르는 행성 ==
r23
43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b8edff><table bordercolor=#1a5091><colcolor=#00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 at 100% 50%, #b8edff 30%, #1a5091)" {{{#fff FZ-2[br]'''{{{+2 날아오르는 행성}}}'''[br]{{{-1 Flying Planets}}}}}}}}} ||
44||<-6><nopad> [youtube(0)] ||
45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46[[파일:tutot2-1.png]]}}} ||
47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50 ||
48|| '''타일 수''' ||<-3>76 ||
r27
49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날아오르는 행성 기믹 ||
50날아오르는 행성 기믹을 연습하는 튜토리얼이다.
51기믹이 시작되면 행성 하나가 축이 되어 위로 이동하고, 다른 행성이 그 주의를 공전하면서 같이 이동하는 방식이다. 그 중 축이 되는 행성의 이동 경로에 처리해야 할 타일이 어두운 원 모양으로 표시된다. 처리해야 하는 타일은 일반 타일과 홀드 타일로 구분되며, 음영이 진 원의 길이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.
r22
52== FZ-3 오 ==
r23
53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b8edff><table bordercolor=#1a5091><colcolor=#00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 at 100% 50%, #b8edff 30%, #1a5091)" {{{#fff FZ-3[br]'''{{{+2 오}}}'''[br]{{{-1 Impact Event}}}}}}}}} ||
54||<-6><nopad> [youtube(0)] ||
55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56[[파일:tutot2-1.png]]}}} ||
57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50 ||
58|| '''타일 수''' ||<-3>88 ||
r27
59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날아오르는 행성 기믹 심화 ||
60앞서 배운 날아오르는 행성 기믹의 심화 버전 튜토리얼이다.
61축이 되는 행성으로 처리해야 하는 노트는 여전히 존재하고, 그 왼쪽 라인에 공전하는 행성으로 처리해야 하는 노트가 추가로 생긴다. 홀드 타일은 등장하지 않는다.
r22
62= 메인 레벨 구성 =
63= 여담 =
r25
64 * 기믹에 등장하는 얼음 소리는 Rhythm Doctor 5장부터 등장하는 동결 박자의 히트사운드이다.